http 통신에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는 대표적으로 fetch, axios가 있다.
둘 다 비슷하게 사용되는거 같다.
axios란?
promise 기반의 http 비동기 통신 라이브러리이다.
get, delete, post, put, patch 등 http 매서드 지원한다.
promise 기반이기 때문에 axios.get().then(result)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axios 장점
1. 커스텀 인스턴스 가능
axios.create({
baseURL: host
})
2. 인터셉터
response를 받기 전 공통된 로직을 마치 미들웨어 처럼 넣을 수 있음
-> 이를 이용하여 쉽게 에러 핸들링 가능
3. 쉬운 참조
axios.get().then(result=>
console.log(result.data)
)
result.status, result.data 등 정보를 바로 가져올 수 있음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oLQeFkhRqzU&t=21s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독립적 앱 실행환경 제공하는 Docker (0) | 2022.06.10 |
---|---|
TIL) 인증 중개 메커니즘: OAuth(feat. github을 사용한 Sprint review) (1) | 2022.06.10 |
TIL) 토큰기반 인증 : JWT (2) | 2022.06.08 |
TIL) res.status (0) | 2022.06.07 |
TIL) Debug: Sequelize migration error (1)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