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TIL) IPFS(InterPlanetary FileSystem) 이해 (3)

본 컨텐츠는 Kblock 공식 리서치팀, 케블리님이 Steemit에 작성한 자료와 기타 아티클들을 참고하였습니다.

https://steemit.com/kr/@kblock/36-ipfs-interplanetary-file-system-3-ipfs-swarm

https://min.news/en/tech/b7f310500f77f2cf90c2bd6ef689c396.html


 

(1), (2)에서 IPFS의 개념, IPFS에서 Filecoin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았음.

 

(3)에서는 IPFS와 다른 분산 저장 시스템인 Chia, Swarm을 비교하여 알아보겠음.

 

#Swarm, chai 그리고 filecoin의 차이점

https://min.news/en/tech/b7f310500f77f2cf90c2bd6ef689c396.html

swarm은 이더리움 내에서 작동하는 분산 저장시스템임.

Chia는 IPFS 기반이 아니며,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네트워크임.

 

Chia의 궁극적인 목표는 국제 지불 및 결제를 위한 간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임. PoC(용량 증명) 저장 및 마이닝 모델을 사용하여 토큰을 생성하지만 분산 저장을 메인으로 생각하지 않음.

 

Swarm은 분산 스토리지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로 IPFS 기술 개념과 매우 유사하지만 응용 분야는 Ethereum 전용임.

이더리움 자체에는 이미 많은 데이터가 있고 이러한 데이터는 운영 속도를 크게 낮추기 때문에 Swarm의 경우 데이터보다 네트워크 대역폭이 더 중요함.

 

 

#network capacity 비교

network capacity, 즉 network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양은 chia가 22EiB로 filecoin(IPFS)의 17.755EiB보다 앞서있음.

하지만 Chia는 space가 하락추세인 반면, filecoin은 꾸준한 상승세.

 

탈중앙화된 분산 네트워크의 성패는 결국 얼마나 많은 파일이 올라와있냐, 얼마나 많은 유저가 사용중이냐일텐데, 아직까진 둘 다 비슷한 수준. 

 

filecoin
https://messari.io/article/filecoin-has-it-an-ecosystem-overview
chia

#기술적 update

두 프로젝트 모두 git 상에서 업데이트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