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 이코노미의 3요소
- 토큰 : 원하는 보상과 교환가치를 가지는 매개체
- 강화제 : 유저가 원하는 보상
- 특정 목표 행동 : 유저가 하길 바라는 행동
#기존 토큰 이코노미(블록체인 이전)의 문제점
1) 토큰의 교환가치가 비합리적인 경우
2) 토큰의 발행/지급/기록이 투명하지 않은 경우
3) 토큰의 교환가치 또는 비율에 일관성이 없는 경우
4) 미래 교환가치에 확신이 없는 경우
모두 중앙 주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
따라서 토큰 시스템의 지속적 신뢰성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운영의 투명성 확보해야 함.
#블록체인에서의 토큰 이코노미
기존 토큰 이코노미와 다르게 블록체인에서는 토큰자체가 강화제 역할을 함.
1) 토큰 가치는 시장의 공급과 수요에 의해 정해짐
2) 블록체인을 통해 투명성이 관리됨
3) 스마트 콘트랙트를 통해 일관성 확보됨
4) 스마트 콘트랙트를 통해 미래 교환가치의 일관성 확보
하지만 아직까지도 대다수의 블록체인 토큰은 토큰을 발행하는 주체인 발행사에서 '발행가'를 정하고 추가적인 '민팅'을 통해 공급량을 늘리는 경우가 빈번함.
스마트콘트랙트라는 기술만으로 기존 토큰 이코노미의 한계를 모두 극복할 수는 없음.
중앙화된 주체의 관리에서 벗어난 온체인·오프체인 거버넌스 활성화가 핵심.
거버넌스 활성화는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기반으로 함.
즉, 기술과 시스템만으로는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기 어려우며, 토큰의 가치 유지를 위해선 유저들의 적극적 참여가 필수적임.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 설계시 고려해야할 점
토큰은 어떤 기준으로 누구에게 줄 것인가?
어떻게 토큰이 가치를 유지하게 할 것인가?
토큰의 가격 변동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사람들이 토큰을 보유하도록 유인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토큰의 발행량, 초기가격은 얼마로 해야하는가?
네트워크 성장과 토큰 가치 상승을 어떻게 연동할 것인가?
추가로 조사할 내용: 토큰 이코노미 사례 스시스왑vs유니스왑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니모닉 생성과정, eth-lightwallet 모듈로 지갑생성 실습 (0) | 2022.06.21 |
---|---|
TIL) 암호학 기초 (0) | 2022.06.17 |
TIL)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기술 : 세그윗, 머클트리, 머클 패트리샤 트리, 슈노르 서명, MAST (0) | 2022.06.16 |
TIL) Blockchain oracle 개념 및 관련 솔루션 (0) | 2022.06.14 |
TIL) 분산 원장(DLT)의 개념 및 다양한 구현 방법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