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에 필요한 요소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인증(Authentication)
#단방향vs양방향 암호화
단방향
- 무결성을 위하여 사용
- ex) 해시 알고리즘 MD5
양방향
- 대칭키, 비대칭키 방식
- 대칭키 방식은 배달사고가 일어날 수 있음. 따라서 인터넷이 아닌, 혼자 사용할 때 활용.
- 대칭키 ex) AES
- 비대칭키(공개 키 방식) ex) RSA 알고리즘을 통해 공개키-개인키 페어 생성
#비대칭 키 암호 방식
- 개인 키 암호 방식
- 공개 키 암호 방식 : B가 A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공개된 A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전달받은 암호화된 메시지를 A는 개인 키로 복호화
#전자서명(디지털서명)
- 개인 키 암호방식
- A는 전자문서를 해시화한 후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전달, 전달받은 사람은 A의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서명이 위조되지 않았는지 검증
#전자봉투
- 대칭 키 암호화(비밀키) & 비대칭 키 암호화(공개키, 개인키) 혼용
- 메시지를 대칭 키인 비밀키로 암호화한 뒤, 비밀키를 수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 전달받은 비밀키를 개인키로 복호화한 후, 메시지를 비밀키 복호화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Layer 2 솔루션 유형 (0) | 2022.06.22 |
---|---|
TIL) 니모닉 생성과정, eth-lightwallet 모듈로 지갑생성 실습 (0) | 2022.06.21 |
TIL)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점 (0) | 2022.06.17 |
TIL)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기술 : 세그윗, 머클트리, 머클 패트리샤 트리, 슈노르 서명, MAST (0) | 2022.06.16 |
TIL) Blockchain oracle 개념 및 관련 솔루션 (0) | 2022.06.14 |